정부에서 5월에는 유류세를 기존 20%에서 10% 더 늘려 30% 인하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5월이 들어선 현재 많은 시민들이 유류세 인하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불평을 늘어놓고 있습니다.
왜 그런 것인지 이유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주유소 기름값이 떨어지지 않은 이유
유류세 30% 인하율을 적용할 시 휘발윳값은 리터당 약 83원이 떨어져 1800원대로 되어야하는데요.
5월 들어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약 29원 정도 내리는데 그쳤습니다.
직영 주유소와 알뜰 주유소에서는 인하된 기름값을 바로 적용해서 저렴한 기름을 살 수 있다는데 왜 대부분의 시민들이 낮아진 기름값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
사실 우리나라 80%의 주유소가 개인 주유소라고 그렇습니다.
직영주유소와 일반 주유소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요.
정유사 직영주유소와 알뜰주유소의 경우는 유류세 인하분을 곧장 가격에 반영했지만 일반 자영주유소는 그렇게 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개인 주유소에서는 보관 탱크에 유류세가 인하되기 전 사놓은 기름이 보관됩니다.
따라서 이런 미리 사놓은 재고를 소진해야 정류사로부터 유류세 인하가 반영된 저렴한 기름을 팔 수 있게 됩니다.
재고 소진 기간과 새로 산 기름이 배송시간까지 고려한다면 1~2주 정도 시차가 생기게 될거라 예상하고 있는데요.
이번 달 중순 정도가 되면 유류세 인하가 어느정도 체감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저렴한 기름을 사시려면 직영 주유소나 알뜰 주유소를 이용하셔야겠습니다.

유익한 팁이 되셨나요?
언니네 살림꿀팁은 매일 유익한 일상생활 꿀팁과 노하우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시기 편한 SNS 채널을 통해 매일 업데이트 되는 정보들을 받아보세요.
[무료]입니다!
일부 링크는 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가 제공될 수 있습니다